안녕하세요?
오늘은 흔히 부르는 '묘기증', 곧 '피부묘기증(dermographism)'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
영어로 다양한 이름들이 있어요 - Dermographism, Dermographism urticaria, urticaria factitia -
압력이나 외상 자극에 의해 모기물린 자국처럼 부어오른 모습인 팽진(wheal)이 나타나는 두드러기의 일종입니다.
흔히 "Writing on the skin"이라고 해서, 피부에 펜으로 자국만들어서 글씨를 쓸 수 있다는..
묘기증은 세부 분류시에, 유발성/물리적 두드러기 중의 가장 흔한 형태로서, 전 인구의 2-5% 유병률을 보입니다.
보통 젊은 성인 (10-20대)에서 흔하며, 소아 환자에서는 여성 환자의 비율이 더 높다고 합니다.
[타질환과 연관성]
아래 질환들은 묘기증과 함께 나타날 수도 있는 희귀한 질환들입니다.
묘기증이 있다고 아래의 질환들을 반드시 검사해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혹시라도 묘기증 이외에 신체적으로 다른 불편감이 동반된다면 의사의 전문 진료를 한번 받아보는 것도 괜찮을 것입니다.
1. 과호산구 증후군 (Hypereosinophilic syndrome) - 혈액 검사상 혈중 호산구>1500μl이 6개월 이상 지속
2. 과도한 스트레스 (임신중기 이후, 폐경)
3. 베체트병(Behcet disease) - 입안이 헐거나, 외음부가 헐게 되는 질환 (구강궤양, 성기궤양)
4. 헬리코박터세균(Helicobactera pylori)감염 - 위벽의 세균 감염
5. 항생제(특히, 페니실린 Penicillin)
6. 옴(scabies) -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이, 요양원에서 자주 옮으시는 기생충 피부 질환
[원인/기전]
결론: 아직도 확실히 잘 모른다.
물리적 자극(압력,외상)이 비만세포(mast cell)로부터 혈관 확장 유도물질 (vasoactive mediator)를 분비하게 할 것으로 추측합니다.
- 이외에도 histamine, leukotriene, bradykinin, heparin, kallikrein, substance P 등이 중요한 매개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루이스의 삼단계 반응 (Tripple response of Lewis)"
(1) 초기에는 피부 표면층의 가는 모세혈관들이 확장되면서, 붉은색 발진(홍반)이 나타남.
(2) 중기에는 조금 더 굵은 세동맥이 확장되고, 신경 반사 경로(axone-reflex flare)를 통해 감각 신경이 자극되면서, 홍반이 점차 넓어짐.
(3) 말기에는 확장된 혈관벽 사이로 삼출액이 흘러나오면서, 모기물린 것처럼 부풀어 오름.
보통 외부 자극을 받고 평균 5분에 걸쳐서 이러한 반응이 나타나며,
한번 생긴 팽진(wheal)은 최대 15-30분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치료]
[1] 예방 / 회피
- 물리적인 자극을 피하기
- 스트레스 최소화
[2] 발생 후 치료
- H1 계열 항히스타민제: cetirizine(품명: 지르텍 zyrtec), loratadine (품명: 클래리틴 clarityne)
- H2 계열 항히스타민제: cimetidine(품명: 시메티드정 cimet), famotidine (품명: 가스터정 gaster)
- 오말리주맙 주사제 (omalizumab): 한달에 한번씩 맞는 30-40만원 정도의 고가 주사제입니다.
임상 연구에서150mg 또는 300mg 투여시, 58-72% 정도의 환자에서 개선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 광선치료 (자외선B, ultraviolet B phototherapy): 주 2-3회의 빈도로, 2-3개월마다 커다란 통안에서 2-3분 빛(햇빛 일부 성분 311nm)을 쪼이는 치료.
- 보조요법
비타민 C, 매일 1000mg 복용
비타민 D, 매일 20,000IU 복용 (비용-효과 대비, 1000IU로 2-3개월 복용도 고려해볼만함)
[경과]
환자마다 매우 상이하지만, 경과과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5년 이후 36%에서 완치를 보이며, 10년 뒤에 51%에서 완치를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전체 자료출처: Nobles T, Muse ME, Schmieder GJ. Dermatographism. [Updated 2022 Feb 23].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2 Jan-.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1496/
오늘 하루도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행복한 당신이 내일을 맞이합니다. 당신이, 곧 내일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Youmarrow~
'[ⅲ] 피부 질환 & 시술,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피의 지루성 피부염 (seborrheic dermatitis) - 원인 & 치료 (0) | 2022.07.16 |
---|---|
아크리프(Aklief) - "등드름의 해결사", 4세대 비타민 A (Tifarotene) 크림 (0) | 2022.07.02 |
원숭이두창(Monkeypox, Orthopoxvirus) - 전파 경로 및 위험성 (0) | 2022.06.29 |
유아 침독 (drooling rash), 입가 피부염, 접촉 피부염 - 프로토픽 (tacrolimus oint 0.03%), 비판텐 (dexpanthenol) (0) | 2022.06.13 |
바이러스 피부질환, 사마귀(wart)와 냉동치료 Part 1. (1) | 2022.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