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ⅱ] 건강 & 영양 & 실생활

아토피 피부염(습진)에서 유산균(probiotics), 프로바이오틱}의 중요성! - 우리 몸을 이롭게하는 미생물

by 흰줄박이물돼지 2023. 7. 13.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토피 피부염(또는 아토피 습진)에서 ‘유산균(probiotics)’이 얼만큼 중요한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유산균은 영어로 프로바이오틱이라고 하는데,
WHO 정의에 따르면 “살아있는 미생물로서, 적당량을 섭취하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주는 미생물군”을 일컫습니다.

유산균 중 하나인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의 전자현미경 사진. 인간이 적당량의 살아있는 미생물을 섭취하여 유익한 효과를 볼때, 그 균들을 ’유산균(probiotics)’라고 말합니다.



이제부터 각종 연구들을 소개해드릴텐데요~🤫

🤩🤩중요한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특정한 이름을 가진 (Lactobacillus 또는 Bifidobacterium) 유산균들을 2종류 이상 혼합된 제품으로 최소 3개월 이상 복용하시는 것이, 아토피피부염을 개선하는데 (효과를 보는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아토피피부염에서 유산균의 치료 효과를 살펴본 연구들
(출처: Microorganisms.  2021;9:1513)

참고: 세균의 속(genus)명은 축약해서 아래와 같이 표기.
Bifidobacterium = B.
Lactobacillus = L.


[1] Navarrow et al. (2018)의 연구
3종 혼합 유산균 (B.lactis / B.longum / L.casei)을 12주 (3개월)동안 복용시켰을 때에,
복용한 집단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 점수 (SCORAD 점수)가 약 80% 정도 감소하였습니다.
<SCORAD 점수 감소율 = 비율이 클수록, 아토피피부염이 개선되고 치료되었다는 의미>
*유산균 복용군: -83%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 -24%
(p-value < 0.001)

결론: 유산균 3개월 복용했을 때, 아토피피부염의 증상이 약 80%정도 개선됨. (복용하지 않은 그룹은  피부염 증상이 24%만 개선된 것에 비해, 확실한 치료 효과의 차이가 보입니다)

[2] Climent et al. (2021)의 연구
3종 혼합 유산균 (B.lactis / B.longum / L.casei) 을 사람에게 3개월 동안 복용시켰을 때,
장내 미생물 환경의 변화가 일어난 것을 확인했습니다!

<장내 미생물 환경 변화>
*증가: Bacteroides, Ruminococcus, Bifidobacterium
*감소: Faecalibacterium

여기서 중요하게 보아야할 것이, Faecalibacterium인데요, 이 F균의 증가는 다른 연구들에서 아토피피부염이 악화되는 것과 연관된 나쁜 미생물임이 밝힌바 있습니다. (F균의 감소는 오히려 아토피피부염의 호전과 관련이 있죠)

즉, 유산균을 3개월 복용했더니, 아토피 피부염에 좋은 방향으로 장내 미생물 환경이 변한 것이죠. (심한 아토피피부염의 표지자인Faecalibacterium이 감소했다니, 장내 환경이 아토피피부염에 좋은 방향으로 변화한 것)

[3] Gerasimov et al. (2010)의 연구
2종 혼합 유산균 (L.acidophilus / B.lactis) 및 프리바이오틱(prebiotic, 유산균의 먹이)을 8주 동안 복용하였을 때에,
복용한 사람들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심한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습니다.
================================

이상으로, 연구들의 결론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유산균 치료(probiotic treatment)에 있어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와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이 포함된,
2종류 이상의 다종 혼합 유산균 제제로,
최소 3개월(12주)이상 꾸준히 복용해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 연구된 유산균 이름들>
출처: Exp Ther Med. 2019;18(2):926-931.

Lactobacillus (L)
- L. acidophillus / L. helveticus
- L. casei / L. paracasei
- L. salivarius
- L. rhamnosus

Bifidobacterium (B)
- B. lactis
- B. longum
- B. bifidum
- B. breves
- B animalis

이제, 실제 몇몇 제품들에 포함된 유산균의 이름 (속명, genus)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을 구매하실때에, 이러한 유산균의 이름을 살펴보는 시도도 한번 해보시면 좋을 것입니다!

모 유산균 제품에 포함된 유산균의 종류. 미생물의 속명(genus)애 해당하는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움’이 보입니다. 그 뒤의 세부 종명까지 확인해보면 좋겠으나, 그렇게까지 하면 너무 머리가 아플 수 있습니다 😅😅
이 제품에도 역시 다향한 유산균들이 약 14종류나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아토피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미생물들을 한번 찾아보세요~
여기에서도 익숙한 미생물의 속명(genus)이 보입니다. 바로 bifidobacterium입니다. Lacticaseibacillus rhamnosus는 Lactobacillus rhamnosus라고 이전에 불렸으나, 연구상 학명이 개정되었다고 하네요. 그냥 Lactobacillus로 보셔도 무방합이다.


이상으로, 오늘은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된 유산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하루도 무언가 얻어가는 시간 되셨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당신이 내일을 열어가는 소망의 시작입니다
Youmarrow~!






댓글